2025년 상반기 건설 노임단가는 건설업계의 임금 실태를 반영하여 대한건설협회와 한국표준품셈정보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기반한 것입니다. 이 노임단가는 건설공사 원가 산정, 계약 체결, 공사비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되며, 건설업계의 임금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작용합니다.
1. 보통인부 시중노임단가
2025년 상반기 보통인부의 시중노임단가는 169,804원으로, 2024년 하반기 대비 1.63%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인부들의 평균 임금을 나타냅니다.
2025년 상반기 공사부문 노임단가 |한국표준품셈정보원 > 자료실
2025년 상반기 공사부문 노임단가 |한국표준품셈정보원 > 자료실
대한건설협회 발표 2025년 상반기 적용 (2025년 1월 1일 발표) 건설업 임금실태 조사 보고서
www.kseis.co.kr
2. 특별인부 시중노임단가
특별인부의 시중노임단가는 221,506원으로, 2024년 하반기 대비 1.00% 상승하였습니다. 특별인부는 전문적인 기술이나 지식이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인부들을 지칭합니다.
3. 기타 직종별 시중노임단가
각 직종별로 상이한 임금이 책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통신내선공의 시중노임단가는 278,565원, 통신설비공은 308,930원, 통신외선공은 405,235원입니다. 각 직종은 업무의 특성과 난이도에 따라 임금 차이가 있습니다.
4. 건설업 임금 실태
2025년 1월 1일 기준으로 건설업 전체 직종의 평균 임금은 27만 6,011원으로, 2024년 9월 대비 1.93% 상승했습니다. 이는 건설업계의 전반적인 임금 상승을 반영하며, 업종마다 세부적으로 임금 차이가 존재합니다.
5. 노임단가의 활용
노임단가는 건설공사 원가 산정, 계약 체결, 공사비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정확한 노임단가 산정은 공사비의 적정성을 확보하고, 건설업계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적정한 노임단가 산정을 통해 근로자의 임금을 합리적으로 책정할 수 있습니다.
6. 노임단가의 변동 요인
노임단가는 경제 상황, 노동 시장의 변화, 정부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합니다. 예를 들어, 경제 성장이 빠를 경우 임금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고, 불경기일 경우 임금 상승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노동력 부족이나 정책적인 지원 등이 노임단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건설 노임단가는 전반적으로 상승하며, 이는 건설업계의 임금 수준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건설업계는 정확한 노임단가 산정을 통해 공사비 예측을 보다 정확히 할 수 있으며, 근로자에게 합당한 보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설업체는 이러한 변동 요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변화하는 시장에 맞춰 적정한 노임단가를 책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