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라스고우 혼수척도 대뇌제거 강직 자세 겉질제거 강직 자세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글라스고우 혼수척도 대뇌제거 강직 자세 겉질제거 강직 자세

by 4스트리밍 2024. 11. 21.
반응형

글라스고우 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 GCS)는 뇌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도구로, 환자의 반응을 통해 뇌의 기능 상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척도에서 '대뇌제거 강직 자세(Decerebrate posturing)'와 '겉질제거 강직 자세(Decorticate posturing)'는 모두 심각한 뇌 손상을 나타내는 중요한 신경학적 반응입니다.

 

1. 대뇌제거 강직 자세(Decerebrate Posturing)

대뇌제거 강직 자세는 뇌간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태로, 환자의 팔과 다리가 강제로 확장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팔은 어깨에서 직선으로 뻗어 나가며 손목은 구부러지고, 다리 역시 확장되어 발끝이 아래로 향합니다. 이 자세는 뇌의 더 깊은 부위에 심각한 손상이 있을 때 나타나며, 환자는 자극에 반응하지 않거나 불규칙적으로 반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겉질제거 강직 자세(Decorticate Posturing)

반면, 겉질제거 강직 자세는 뇌의 대뇌 겉질, 특히 내부 캡슐(Internal capsule) 또는 뇌의 상위 부위가 손상될 때 나타납니다. 이때 환자의 팔은 구부러지며 몸의 중심 쪽으로 당겨지고, 다리는 신전되며 발끝은 내향적으로 돌립니다. 겉질제거 강직 자세는 대뇌제거 강직보다 비교적 더 높은 생존 가능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

두 가지 강직 자세는 모두 심각한 뇌 손상의 지표로, 보통 의식을 잃고 혼수 상태에 빠진 환자에게 나타납니다. 대뇌제거 강직 자세는 팔과 다리가 모두 뻗쳐 있는 상태로, 보다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을 시사하며, 겉질제거 강직 자세는 팔이 구부러져 중심 방향으로 끌려가는 형태로, 비교적 더 적은 손상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진단은 신체 검사와 병력 청취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환자가 통증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팔과 다리의 위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등을 관찰합니다. CT나 MRI 같은 영상학적 검사로 뇌의 손상 부위를 파악하고, 혈액 검사나 뇌파 검사 등을 통해 추가적인 진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및 관리

대뇌제거 강직과 겉질제거 강직은 둘 다 뇌 손상의 결과로 나타나며, 원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뇌 부종을 줄이기 위한 약물 치료, 외과적 수술을 통한 뇌 압력 감소, 그리고 중환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학적 손상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방적인 치료와 조기 개입이 중요합니다.

 

“폐에 물 차 숨 못쉬어”…술 급하게 마신 男, 질식할 뻔한 사연은? - 코메디닷컴

 

“폐에 물 차 숨 못쉬어”…술 급하게 마신 男, 질식할 뻔한 사연은? - 코메디닷컴

한 자리에서 많은 양의 술을 마신 후 급성 알코올중독으로 의식을 잃었다 이틀 만에 회복된 남성의 사례가 보고됐다. 급성 알코올중독은 짧은 시간 내에 갑자기 많은 양의 알코올을 섭취해 나타

kormedi.com

 

반응형